추천 글

초고령사회 대비 노인장기요양보험 대개편의 핵심 전략

이미지
  초고령사회 대비 노인장기요양보험 대개편의 핵심 전략  대한민국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로 늙어가고 있습니다.  2025년경 초고령사회 진입이 확실시되면서, 노년층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 개편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정부의 핵심 개편 방향은 '지속 가능한 돌봄'으로의 대전환에 맞춰져 있습니다. 1. 고령화 사회 대응의 5대 핵심 전략 🛡️ 정부는 단순히 늘어나는 노인 인구를 관리하는 차원을 넘어, 노년층이 활기차고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① 폭증하는 장기요양 수요에 대한 질적, 양적 대응 평균 수명의 연장, 즉 장수화는 축복이지만, 동시에 만성질환과 치매 유병률 증가로 이어져 장기요양  서비스의 수요를 폭발적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과거 가족에게 전가되던 돌봄 부담을 국가와 사회가 책임지는 공적 시스템을 확고히 하여, 보장성 강화를 지속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이는 노년층뿐만 아니라 그들을 부양하는 중장년층의 삶의 질과도 직결됩니다. ② 제도의 심장, 재정 건전성 확보 아무리 잘 설계된 제도라도 재정적으로 불안정하면 유지될 수 없습니다.  재정 건전성 확보는 장기요양보험 개편의 가장 중요한 축입니다. 이를 위해 보험료율/수가 결정의 합리화, 정부의 국고지원 확대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급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급여 사전·사후 관리 강화를 통해 불필요한 지출과 낭비를 막고 국민의 신뢰를 확보해야 합니다. ③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지역사회 연계 강화 🏡 대부분의 노인은 자신이 살아온 익숙한 환경인 **지역사회(Aging in Place)**에서 노후를 보내기를 희망합니다.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사회 연계(커뮤니티 케어) 시스템 구축이 가속화됩니다. 요양과 돌봄을 넘어 지역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

골다공증 치료제 부작용 개선 가능성 열리다:

골다공증 치료제 부작용 개선 가능성 열리다: 

이시훈 교수


길병원 이시훈 교수팀, 새로운 PTH 유사체 발견 ---더보기 골다공증 치료제

골다공증 치료제 부작용 개선의 새로운 가능성


가천대학교 길병원 내분비내과 이시훈 교수팀은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의 장기 사용 시 발생하는 뼈 손실 부작용을 줄이고, 효과적으로 뼈를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부갑상선 호르몬(PTH) 유사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발견은 골다공증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의 배경과 중요성


연구 배경 

PTH는 뼈의 칼슘과 인을 조절하며, 간헐적 투여 시 조골세포를 활성화해 뼈 형성을 촉진한다. 그러나 지속적이거나 장기간(2년 이상) 투여 시 골흡수가 증가해 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시훈 교수는 “PTH 치료제는 부작용 위험 때문에 전문의의 판단 아래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25CPTH 이량체의 발견

 
새로운 발견: R25CPTH 이량체 

세포  시험 결과


연구팀은 R25CPTH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들이 높은 PTH 농도에도 불구하고 높은 골밀도를 유지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분석 결과, R25CPTH는 두 분자가 결합한 이량체(dimer) 형태로, 기존 PTH와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PTH1R)와의 결합력 및 신호 전달에서 차별화된 반응을 보였다. 

생체 실험 결과


실험 결과 
  • 세포 실험: R25CPTH 이량체는 기존 PTH와 비교해 독특한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며, 골 형성 효과를 유지했다. 
  • 생체 실험 (생쥐 모델): 
          두개골 주사 분석법: R25CPTH와 PTH 모두 대조군 대비 약 4배 높은 골 형성 효과를 보였다.           골다공증 유도 생쥐: R25CPTH 투여 시 대퇴골 피질골과 척추 해면골의 뼈 부피가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 특히 골밀도는 R25CPTH에서 더 뚜렷한 개선을 보였다. 
  • 부작용 감소 가능성: R25CPTH는 기존 PTH와 유사한 골 형성 효과를 내면서도 골흡수 부작용을 줄일 잠재력을 보였다. 
의의 및 전망 

연구의 의의 및 전망


이시훈 교수는 “R25CPTH 이량체는 안정적인 PTH1R 신호 전달로 뼈 밀도를 개선하며, 장기 사용 시 부작용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골다공증 및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추가 연구와 임상 시험을 계획 중이다. 

연구 성과 

연구 성과와 참여 연구진


약 10년간 진행된 이 연구는 가천대 길병원 유전체의과학과 노민수 박사와 경북의대 차상국 교수가 공동 1저자로 참여했으며, 세계적인 학술지 eLife에 게재되었다(논문 제목: Dimeric R25CPTH(1-34) Activates the Parathyroid Hormone-1 Receptor in vitro and Stimulates Bone Formation in Osteoporotic Female Mice). 이 발견은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골다공증 치료의 미래


#골다공증 #골다공증치료 #부갑상선호르몬 #PTH유사체 #R25CPTH #이시훈교수 #길병원 #뼈건강 #골밀도 #의학연구 #eLif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코 성형 부작용, 이것만 알면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민감성 피부를 위한 추천 제품 TOP5

엄마와의 소중한 시간: 사랑가득 안과의원 눈 건강 체크하기, 송도 여행기

여름철, 왜 관절 통증이 심해질까? 무더위 속 관절 건강 지키기!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은 당신, 혹시 뇌가 지친 걸까요?